서울시에는 총 5,515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분류군별로 포유류 30종, 조류 235종, 양서류 16종, 파충류22종, 무척수 동물종 388종, 곤충류 2,278종, 식물종 2,156종, 균류 390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생물종 현황
제3차 서울시 야생생물보호 세부계획(2017년~2021년)
합계 | 포유류 | 조류 | 양서류 | 파충류 | 무척추동물류 | 곤충류 | 식물류 | 균류(버섯등) |
---|---|---|---|---|---|---|---|---|
5,515 | 30 | 235 | 16 | 22 | 388 | 2,278 | 2,156 | 390 |
포유류 30, 조류 235, 양서류 16, 파충류 22, 무척추동물류, 388, 곤충류 2,278, 식물류 2,156, 균류(버섯등) 390,
생태계조사가 비슷한 조사강도로 일률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므로 단순비교는 어려우나, 서울의 주요 산림을 정리한 결과,북한산국립공원에서 2,397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조사되었음.
월드컵공원2,065종, 관악산 1,406종, 남산 1,170종의 순으로 조사 되었음
※ 월드컵공원의 경우 2016년 서울시 바이오블리츠 행사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많은전문가들이 모니터링에 참여하여 좁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하게 많은 종이 조사됨
서울시 주요 산림 야생생물 서식현황
제3차 서울시 야생생물보호 세부계획(2017년~2021년)
종다양성 풍부 | 종다양성 빈약 | |||||||||
---|---|---|---|---|---|---|---|---|---|---|
북한산 | 월드컵공원 | 청계산 | 관악산 | 남산 | 수락산 | 인왕산 | 대모산 | 아차산 | 초안산 | |
곤충 | 1,069 | 763 | 412 | 280 | 74 | 83 | 146 | 151 | 87 | 24 |
균류 | 219 | 26 | 125 | 117 | 1 | 100 | 61 | 95 | 72 | - |
무척추동물 | 78 | 121 | 82 | 19 | 5 | - | - | - | - | - |
식물 | 825 | 968 | 813 | 912 | 1,016 | 542 | 405 | 302 | 294 | 284 |
양서류 | 12 | 10 | 9 | 6 | 5 | 8 | 6 | 5 | 2 | 3 |
어류 | 11 | 25 | - | - | - | - | - | - | - | - |
조류 | 152 | 121 | 54 | 60 | 62 | 48 | 44 | 54 | 29 | 25 |
지의류 | - | 6 | - | - | - | - | - | - | - | - |
파충류 | 11 | 10 | 5 | 2 | 2 | - | 5 | 4 | 3 | - |
포유류 | 20 | 15 | 16 | 10 | 5 | 15 | 15 | 4 | 4 | 1 |
합계 | 2,397 | 2,065 | 1,516 | 1,406 | 1,170 | 796 | 682 | 615 | 491 | 337 |
문헌수 | 7 | 7 | 8 | 10 | 9 | 6 | 6 | 5 | 3 | 2 |
※ 화면을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숨겨진 표를 볼 수 있습니다.
서울시 하천 가운데 가장 많은 생물종이 조사된 곳은 탄천으로 총 936종이 출현하였고, 그 다음으로 청계천 850종, 안양천 694종이 나타남
※ 탄천과 홍제천의 문헌 수 대비 출현종수로 보았을 때, 조사문헌 수가 종수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단순히 출현종 수로 지역의 종다양성의 우수성을 판단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 있음
서울시 주요 하천 야생동식물 서식현황
구분 | 탄천 | 청계천 | 안양천 | 양재천 | 중랑천 | 홍제천 |
---|---|---|---|---|---|---|
곤충 | 247 | 204 | 243 | 160 | 23 | 98 |
군류 | 2 | 4 | 2 | 1 | 0 | 0 |
무척추동물 | 53 | 9 | 5 | 1 | 0 | 0 |
식물 | 488 | 548 | 381 | 414 | 447 | 327 |
양서류 | 9 | 6 | 3 | 5 | 3 | 2 |
어류 | 25 | 30 | 8 | 24 | 15 | 40 |
조류 | 93 | 43 | 46 | 49 | 24 | 3 |
파충류 | 10 | 3 | 2 | 6 | 2 | 2 |
포유류 | 9 | 3 | 4 | 5 | 0 | 0 |
합계 | 936 | 850 | 694 | 665 | 514 | 472 |
문헌수 | 9 | 5 | 6 | 6 | 6 | 2 |
서울시에 서식하고 있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은 총 48분류군으로 조사됨
- 포유류는 멸종위기 Ⅱ급 삵을 포함하여 3분류군이며, 조류는 멸종위기 Ⅰ급인 매, 흰꼬리수리,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참수리를 포함하여 26분류군, 양서파충류 6분류군, 곤충류 4분류군, 식물류분류군, 무척추동물 1분류군이 분포함
- 식물의 경우 멸종위기 Ⅰ급 섬개야광나무와 멸종위기 Ⅱ급 미선나무 등을 포함하여 8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공원에 관람용 및 조경용으로 식재된 경우가 있음
서울시 멸종위기종 분포현황
분류군 | 종수 | 1급 | 2급 |
---|---|---|---|
포유류 | 3 | 대류사슴, 수달 | 삵 |
조류 | 26 | 매, 흰꼬리수리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참수리 | 개리,검은머리촉새, 고니, 까막딱다구리, 독수리, 무당새, 벌매, 붉은배새매, 새매, 새홀리기, 솔개쇠검은머리쑥새, 수리부엉이, 알락개구리매, 올빼미, 잿빛개구리매, 조롱이, 참매, 큰고니, 큰기러기, 흰목물떼새, 큰말똥가리 |
양서파충류 | 6 | 수원청개구리 | 구렁이, 남생이, 맹꽁이, 표범장지뱀, 금개구리 |
곤충류 | 4 | - | 노란잔산잠자리, 물장군, 쌍꼬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
식물류 | 8 | 섬개야광나무 | 기생꽃, 노랑붓꽃, 미선나무, 복주머니란, 삼백초, 솔붓꽃, 제비붓꽃 |
무척추동물 | 1 | 대모잠자리 | |
총48분류군 |
- 멸종위기야생생물 출현지역은 총 31개소로 한강(탄천, 청계천 등 지류포함) 31종, 북한산 18종, 월드컵공원 13종이 출현함
- 월드컵공원의 경우 곤충류와 조류가 주를 이룸
- 2016년 멸종위기 Ⅰ급인 수원청개구리, 멸종위기종 Ⅱ급인 금개구리가 강서구의 한 농원에서 발견되었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이 한강 천호대교 부근에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됨
서울시 멸종위기 야생생물 출현지 현황
대상지 | 출현종수 | 대상지 | 출현종수 | 대상지 | 출현종수 |
---|---|---|---|---|---|
한강 | 31 | 관악산 | 2 | 와룡산 | 1 |
북한산 | 18 | 백사실계곡 | 2 | 용산가족공원 | 1 |
월드컵공원 | 13 | 불암산삼육대 | 2 | 인왕산 | 1 |
밤섬 | 8 | 수락산 | 2 | 창경궁 | 1 |
암사동 | 8 | 안양천 | 2 | 창덕궁 후원 | 1 |
방이동 | 5 | 여의샛강 | 2 | 초안산 | 1 |
진관내동 | 5 | 청계산 | 2 | 항동수목원 | 1 |
고덕동 | 4 | 헌인릉 | 2 | 강서구 논습지 | 1 |
길동생태공원 | 3 | 개포동 달터근린공원 | 1 | 과해동 | 1 |
둔촌동 | 3 | 봉산 | 1 | 합계 | 31개소 |
강서습지생태공원 | 2 | 안산 | 1 |
서울시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은 포유류 1종, 조류 8종, 어류 1종으로 총 10종으로 나타남
- 서울시에 서식하고 있는 천연기념물은 포유류 1종, 조류 8종, 어류 1종으로 총 10종인 것으로 나타남
- 수달의 경우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과 중복 지정되어 있음
종류 | 출현종수 | 대상지 |
---|---|---|
포유류 | 1 | 수달 |
조류 | 8 | 개구리매, 소쩍새, 솔부엉이, 쇠부엉이, 원앙, 칡부엉이, 큰소쩍새, 황조롱이 |
어류 | 1 | 황쏘가리 |
총10분류군 |
천연기념물 출현대상지는 총 29개소로 길동생태공원과 북한산에서 총 5종으로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밤섬 4종, 월드컵공원 4종, 창덕궁 4종의 순으로 출현함
서울시 천연기념물 출현지 현황
대상지 | 출현종수 | 대상지 | 출현종수 | 대상지 | 출현종수 |
---|---|---|---|---|---|
길동생태공원 | 5 | 서울숲 | 2 | 와차산 | 1 |
북한산 | 5 | 암사동 | 2 | 안산 | 1 |
밤섬 | 13 | 인왕산 | 2 | 여의샛강 | 1 |
월드컵공원 | 8 | 청계산 | 2 | 와룡산 | 1 |
창덕궁 | 8 | 헌인릉 | 2 | 우면산 | 1 |
고덕동 | 5 | 관악산 | 2 | 종묘 | 1 |
남산 | 5 | 둔촌동 | 2 | 진관내동 | 1 |
대모산 | 4 | 봉산 | 2 | 창경국 | 1 |
방이동 | 3 | 봉화산 | 1 | 천왕산 | 1 |
한강 | 3 | 불암산 | 1 | 총 | 29개소 |
서울시에서는 ‘서울특별시자연환경보전조례’ 제15조(보호야생동·식물의 지정)와 서울시 부시장방침 제995(2002.12.5) ‘서울시 보호야생동식물 관리계획’에 의해 서울지역에서 사라져가는 야생동·식물 중 학술적·생태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는 종을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2002년 11월 15일에는 서울지역에서 자생하는 야생동식물 중에서 보전가치가 있는 종의 체계적인 보호를 위하여 도룡뇽 등 35종을 “서울시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관리하고 있으며, 2007년 10월 25일에는 생태전문가 등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시민단체 및 환경부 의견수렴을 거쳐 다람쥐 등 14종을 추가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지정 생물종은 학술적 연구목적·동물원·식물원 등에서 사용하고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포회·채취·이식 등이 금지된다.
2001.9 보호종에 대한 서식환경, 생태적 특징 등을 조사하고 지도화 하는 등 관리대책을 수립하였고, 2002.11.서울시 보호야생 동·식물 관리계획 및 2006.12월 서울특별시 야생동·식물 보호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야생 동·식물의 주요서식지 보호강화 및 생육에 적합한 서식지 조성 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 멸종위기에 있거나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
- 산림ㆍ하천ㆍ습지 및 고지대 등의 일정지역에 국한하여 서식하는 종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종
- 학술적ㆍ경제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종
- 그 밖에 시장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종
합계 | 포유류 | 조류 | 양서파충류 | 어류 | 곤충류 | 식물류 |
---|---|---|---|---|---|---|
5,149 | 5 | 11 | 7 | 4 | 12 | 10 |
완치 된 흰뺨검둥오리 방사
오염물질 및 농약에 의한 중독, 도시화 및 도로건설에 따른 건물이나 자동차와의 충돌, 총기나 불법 포획물에 의한 사고 등으로 자연에서 자유로이 살아가던 야생동물들이 뜻하지 않은 부상을 당하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부상당한 야생동물을 보면 누구나 구조해 주거나 치료해 주고 싶은 마음을 갖게 되나, 야생동물의 구조나 치료는 단순한 관심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특히 다친 동물을 완전히 치료하여 그들이 살던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일은 특별한 지식과 경험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선의 방법은 부상 야생동물 구조관련기관에 연락하여 전문가에 의한 적절한 치료와 보살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때로는 최초의 발견자가 전문가가 도착하기 전까지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런데 막상 부상동물을 구조하려고 접근할 때 부상동물의 강력한 저항에 당황하기 쉽고, 어떤 때는 발견자가 동물로부터 뜻하지 않은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부상 야생동물의 종, 연령, 부상 상태 등을 파악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부상동물이나 발견자 본인 모두에게 안전하다.
너구리 구조
참매 구조
부상 야생동물을 발견하였을 때 먼저 먼 거리에서 몸의 이상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좋다. 부상동물의 균형감각, 시각 및 자극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 여부, 출혈 여부 그리고 날개는 제자리에 있는지, 절뚝거리지는 않는지 등을 살핀다. 관찰한 결과 출혈이나 뚜렷한 외상이 없는 경우에는 접근하지 말고 20~30분 동안 지켜본 후 구조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어떤 야생동물들은 천적이나 예기치 못한 위험한 상황에서 쫓기다가 건물이나 나무와 같은 물체에 부딪쳐 충격을 받아 순간적으로 정신을 잃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러한 동물은 시간이 지나면 제정신을 차려 다시 정상적인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정한 시간경과 후에도 날아가지 못하거나 뚜렷한 외상이 있는 경우는 부상동물을 붙들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사항은 어떠한 종류의 야생동물도 맨 손으로 만져서는 안되고 반드시 두꺼운 장갑이나 수건을 이용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부상동물들은 사람이 접근할 경우 자신의 안전을 위해 사람을 공격하여 큰 상처를 입힐 수도 있고, 작은 동물이라도 매우 위험한 질병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어미 야생동물의 경우 대부분 사람이 접근하면 잡히지 않으려 애쓰고 저항하면서 과도한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부상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부상 동물을 다룰 때에는 부드럽고 신속하게 다뤄야 한다.
두꺼운 장갑이나 수건을 이용해서 조심스럽게 들어올린 부상 동물은 상자나 운반용 함에 안전하게 넣어서 어둡고 조용하면서 따뜻한 장소에 일정 시간 그대로 두면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없애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 후 야생동물 구조관련기관에 연락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청한다. 특히 야생동물 구조관련기관의 전문가가 도착할 때까지 아이들이나 다른 동물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반상자에는 풀이나 나뭇가지, 나뭇잎 등을 밑에 깔면 안된다. 이러한 것들은 어린 동물들에게 기생충이나 병균을 옮길 수도 있다. 대신 신문이나 종이수건을 바닥에 깔아주고 이런 것이 없으면 종이봉지라도 깔아주는 것이 더 좋다. 매우 작은 새의 경우 몸 크기에 맞는 작은 깡통에 밑에 휴지를 깔아서 넣어준다.
적절:조류의 경우 종이박스가 가장 안전
부적절: 일반 이동장의 경우 날개 및 다리 등 부상 우려
민간단체가 해오던 야생동물구조관리 업무를 ’16. 10월부터 서울대학교(수의과대학)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17. 7월부터 구조센터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위험하지 않거나 단순 구조의 경우 해당 자치구에서 구조 하여 서울시 야생동물 구조센터(서울대학교 수의과 대학)으로 이송하여 치료 등 조치하며, 위험 동물이거나 구조에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 서울시 야생동물 구조센터(서울대학교 수의과 대학)에서 직접 구조 조치 함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수의과대학 동물병원 B1)
야생동물의 구조·치료 및 질병연구 등
02-880-8659
09:00~18:00(평일)
종로구청 | 공원녹지과 | 02-2148-2855 | 마포구청 | 공원녹지과 | 02-3153-9593 |
---|---|---|---|---|---|
중구청 | 공원녹지과 | 02-3396-5864 | 양천구청 | 공원녹지과 | 02-2620-4566 |
용산구청 | 공원녹지과 | 02-2199-7622 | 강서구청 | 공원녹지과 | 02-2600-4289 |
성동구청 | 공원녹지과 | 02-2286-5674 | 구로구청 | 공원녹지과 | 02-860-3146 |
광진구청 | 공원녹지과 | 02-450-7793 | 금천구청 | 공원녹지과 | 02-2627-1665 |
동대문구청 | 공원녹지과 | 02-2127-4609 | 영등포구청 | 푸른도시과 | 02-2670-3772 |
중랑구청 | 공원녹지과 | 02-2094-2383 | 동작구청 | 공원녹지과 | 02-820-1396 |
성북구청 | 공원녹지과 | 02-2241-3693 | 관악구청 | 공원녹지과 | 02-879-6541 |
강북구청 | 공원녹지과 | 02-901-6934 | 서초구청 | 공원녹지과 | 02-2155-6872 |
도봉구청 | 공원녹지과 | 02-2091-3763 | 강남구청 | 공원녹지과 | 02-3423-6256 |
노원구청 | 공원녹지과 | 02-2116-3931 | 송파구청 | 공원녹지과 | 02-2147-3400 |
은평구청 | 공원녹지과 | 02-351-8025 | 강동구청 | 푸른도시과 | 02-3425-6456 |
서대문구청 | 푸른도시과 | 02-330-1776 |
국내
(사)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 | 유기·야생동물구조 및 치료, 시설현황 안내, 동물 보호법 수록 | 바로가기 |
---|---|---|
(사)야생조류보호협회중앙회 | 야생조류 구조 등 각종 활동상황 및 야생조류 소개 | 바로가기 |
(사)한국조류보호협회 | 조류 보호 수칙 및 한국의 천연기념물 야생조류 소개 | 바로가기 |
한국수달보호협회 | 수달의 일반 생태와 치료방법 소개 | 바로가기 |
국외
International Wildlife Rehabilitation Council | 야생동물 구조, 치료 관련 국제조직 | 바로가기 |
---|---|---|
National Wildlife Rehabilitation Association | 미국 야생동물 구조,치료 연합회 | 바로가기 |
The Wildlife Rehabilitation Information Directory | 미국내 야생동물 구조, 치료관련 정보와 단체, 지역별 연락처 수록 | 바로가기 |
Tri State Bird Rescue and Research | 미국 델라웨어 소재 비영리 민간단체. 야생조류별 치료유형과 사례 수록 |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