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탈석유시대의 공원사용법은 문화예술을 통해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는 공원의 역할을 고민하고 제안하는 3일간의 워크숍/네트워킹 프로그램입니다. 지속가능한 생활방식을 확산하는 '시민 공유지로써의 공원'을 상상하며, 문화비축기지에서 이뤄질 수 있는 다양한 '실험들'을 상상해봅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각 참가자(개인/팀)들이 지속가능한 삶을 확산하는 '시민공유지로써의 공원'을 상상해보고, 자신만의 콘텐츠를 대입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이슈를 공원 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시설로 기획해볼 예정입니다.
참가대상: 지속가능성, 전환, 시민공유지에 관심이 많은 문화예술 관련 단체, 예술가, 기획자, 크리에이터 및 일반 시민(개인/팀) * 팀의 경우 최대 4명까지 구성 가능 * 참가비 무료, 점심 및 다과 제공
프로그램 내용: 1일차 분석하기: 전환의 삶을 위한 공원 이슈 매핑 및 분석 2일차 확산하기: 시민에게 지속가능한 생활방식을 확산할 수 있는 공원의 문화에술 프로그램 또는 시설 기획 및 유사 사례 공유 3일차 제안하기: 이틀 간, 워크숍을 바탕으로 기획된 제안 내용 모의 피칭 및 네트워킹 워크숍에서 기획된 문화예술 프로그램/시설 일부는 추후 문화비축기지의 공식 행사/시설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단, 내부 심사 후 일부 선정)
주제: 2018 탈 석유시대의 공원사용법' 지속가능한 문화비축기지 만들기 소주제 1) '전환의 삶'을 확산하는 문화예술 컨텐츠 소주제 2) '공공 예술/디자인'을 통한 공원 내 시설 상상하기 소주제 3) '시민공유지로써의 공원'을 만드는 (문화예술 외) 모든 아이디어
이런 분들에게 꼭 추천해요! '전환의 생활방식'을 모색하고 확장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에 관심이 많거나, 관련 경험이 있으신 분 '시민공유지로써의 공원'에 대한 특별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거나, 이를 실행하고자 하는 분 '새로운 시대의 공원'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 활동과 공공 디자인으로 공간을 해석하고자 하는 분